관광통역안내사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에 대해서 영어로 설명하기│차이점 [한글설명] / What is Goryeo celadon and Joseon white porcelain ?

tour_guide 2023. 11. 29. 10:00
반응형

본 내용은 영어 관광통역안내사 면접시험을
위한 개인적인 공부 과정으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오류가
있을 수도 알려드립니다.

​가장 좋은 것은 내용을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 어법으로

다시 만드는 과정이

가장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관광통역안내사 활동 관련 게시물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 클릭 ⏬⏬

 

[관통사 블로그] 본격적인 투어 시작 ! 아름다운 가을의 경복궁과 외국인들 한복은 정말 예뻐요 !

오랜만에 나오는 명동 2022년 상반기에도 몇번 일을 하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이번 투어가 처...

blog.naver.com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Explain about Difference between Goryeo celadon and Joseon white porcerain

 

 

Goryeo celadon is a Korean porcelain develop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masterpiece of all Korean artworks beyond the Goryeo Dynasty.


고려청자고려시대 때 발전한 한국의 도자기입니다. 고려시대를 넘어 대한민국 전체 미술품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반응형

 

 

 

Goryeo celadon is famous for its subtle blue color and inlaid technique. This is because the blue light of Goryeo celadon is not made by adding blue pigment, but because light is scattered in glass and looks blue.


고려청자은은한 푸른 빛깔의 비색과 상감기법으로 유명합니다. 고려청자의 푸른빛은 푸른 색소를 넣어서 만드는 것이 아닌 유리질 속에서 빛이 산란되어 푸르게 보이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Inlaid techniques were used to make the pottery, and it was a unique and creative method only used by potters during the Goryeo Dynasty. Unique decorations, such as cranes / clouds / petals painted on celadon, reflect the rich and aristocratic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이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서 상감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시절 고려시대 도공들만이 사용했던 독특하고 창의적인 방법이었습니다. 청자에 칠해진 학 / 구름 / 꽃잎과 같은 고유한 장식고려시대의 풍부하고 귀족적인 문화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Joseon white porcelain (조선백자) is a pottery that became famous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Goryeo Dynasty. It is not as fancy as Goryeo celadon, but the white color has the beauty of simplicity. At that time, Joseon emphasized that frugal, but not shabby, and colorful, but not luxurious, so Joseon baekja fit perfectly with it.


조선백자는 고려시대 다음 조선시대에 들어서 유명해진 도자기입니다. 고려청자에 비해 화려하지는 않지만 새하얀 색깔이 단순함에서 나오는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음을 강조하던 조선시대 시기에 조선백자는 그것과 딱 들어맞았습니다.

 

 

 

 

 

 

You might think it's more difficult to make colorful Goryeo celadon than white porcelain, but it's harder to make Joseon white porcelain. If colored ceramics are colored by glaze or the color of soil, white porcelain is made of only natural materials, so higher technology is needed.


새하얀 백자보다 화려한 고려청자를 만드는 것이 더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조선백자를 만드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유색 도자기는 유약이나 흙의 빛깔 때문에 색이 생기는 거라면, 백자는 자연적인 재료만을 가지고 하얀색을 만들어 내는 것이기 때문에 더 높은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For this reason, it is said that many Joseon potters who had high technical skills during the Imjin War, were kidnapped to Japan.


이 때문에 임진왜란 당시,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던 많은 조선의 도공들이 일본으로 납치가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The difference between celadon and white porcelain is the difference between glaze and beauty technique used in the process of making.


청자와 백자의 차이는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된 유약의 차이와 미의 기법입니다.

 


 

Because the glaze used in celadon and white porcelain is different, it is divided into celadon and white porcelain. Celadon used inlaid techniques to engrave patterns and express aesthetic sense, while white porcelain showed an aesthetic appearance in a painting-oriented form using iron and blue paintings.


청자와 백자에 사용된 유약이 다르기 때문에 청자와 백자로 구분이 되는 것이고 청자는 상감기법을 이용해 문양을 새기고 미적감각을 표현했다면 백자는 철화와 청화를 사용한 그림 위주의 형태로 미적 아름다움을 나타냈습니다.

 

 

 

관통사 블로그를 구독하시면

카카오톡에서 쉽게 면접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 클릭 ⏬⏬

 

 

 

중요한 키워드

 

  • Goryeo celadon / masterpiece of all Korean artworks
  • subtle blue color and inlaid technique / not made by adding blue pigment
  • Inlaid techniques / only used by goryeo's potters / rich and aristocratic culture
  • Joseon baekja / not as fancy / beauty of simplicity / frugal, but not shabby, and colorful, but not luxurious
  • harder to make Joseon white porcelain / made of only natural materials
  • Goryeo celadon / inlaid technique / to engrave patterns
  • white porcelain / painting-oriented form

  • 고려청자 / 대한민국 미술품의 대표적인 걸작품
  • 은은한 푸른 빛깔과 상감기법 / 색소를 넣지 않았다
  • 상감기법 / 고려도공들만 활용하던 방법 / 풍부하고 귀족적인 문화
  • 조선백자 / 화려하지 않음 / 단순한 아름다움 /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음
  • 조선백자가 더 만들기 힘듦 / 자연재료로만 흰색을 표현
  • 고려청자 / 상감기법 / 문양을 넣음
  • 조선백자 / 그림 위주의 미적 형태

 

 

 

 

 

영어 단어

 

porcelain 도자기 representative 대표하는
subtle 은은한 inlaid technique 상감기법
pigment 색소 scatter 흩날리다 / 산란시키다
potter 도공 / 도예가 petal 꽃잎
reflect 반영하다 aristocratic 귀족의
simplicity 단순함 frugal 검소한
shabby 초라한 / 누추한 glaze 유약
kidnap 납치하다 engrave 새기다
aesthetic 심미적인 / 미적인 appearance 외관 / 생김새
form 형태 divide 나누다

 

 

 

 

 

 

기타 정보

 

 

- 청자는 인류가 만들어낸 풍성한 그릇 가운데 하나

- 청자를 만든 나라는 청나라, 중국에서는 옥을 좋아해서 청자를 손꼽았음

- 고려 대에 중국으로부터 청자기가 들어왔는데, 중국 것과 비교해 뛰어난 비색으로 점점 발전

- 상감기법 -> 중국 : 금실은실 / 고려 : 자토흑토

그래서 고려만의 기술이었음 (흙이 좋고 유약제조기술이 좋아 옥색이 더 예뻤다)

- 고려청자 원산지 : 당진

- 유교시대 - 흰색 문화 양반 사대부 정신, 흰색은 전통 색깔.

- 한국의 도자기 역사

고려청자 -> 분청사기 -> 조선백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