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영어 관광통역안내사 면접시험을
위한 개인적인 공부 과정으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오류가
있을 수도 알려드립니다.가장 좋은 것은 내용을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 어법으로
다시 만드는 과정이
가장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관광통역안내사 활동 관련 게시물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 클릭 ⏬⏬
[관통사 블로그] 본격적인 투어 시작 ! 아름다운 가을의 경복궁과 외국인들 한복은 정말 예뻐요 !
오랜만에 나오는 명동 2022년 상반기에도 몇번 일을 하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이번 투어가 처...
blog.naver.com
삼일절과 3.1 운동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Explain abou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and the movement.
March 1, 1919, marks the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korea's independence by the people of the Korean empire, who were undergoing Japanese colonial era, against under Japanese rule.
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 당시, 당시 일제강점기를 겪고 있던 대한제국 국민들이 일본 지배에 항거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The people of the korean empire were severely affected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by the Japan's forced occupation that began in 1910, and in the process, basic rights such as freedom of speech and assembly association were not guaranteed. Also, many resources were loo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relatively rich in natural resources.
1910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강제 점거로 인해 대한제국 사람들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큰 피해를 겪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언론의 자유, 집회결사 등 기본권이 보장되지 않기도 했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풍부했던 한반도에서 많은 자원들이 약탈되기도 했습니다.
As a result, on March 1, 1919, 33 members of the national delegation gathered together to read the De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led to a nationwide protest movment.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test wore korean flags around their bodies, shouted and pray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n empire. This is why we call it the March 1st movement.
이에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한자리에 모여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기에 이르렀고, 이 선언으로 전국적으로 시위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시위에 참여한 사람들은 태극기를 몸에 두르고 대한제국의 독립을 외쳤으며 염원했습니다. 이것이 3.1 운동이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Over the next few months, citizens voluntarily rose up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nd in korean regions around the world, continuing their protests by declaring Korea's independence.
이후 수개월 간 한반도 전역과 세계 한인 지역에서 한국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며 시위를 이어나갔습니다.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nationwide movement and was reported in many media around the world. Many people, including the U.S / Great Britain / France / China, took notice and triggered independence movements in Asian countries.
3.1 운동은 전국적인 규모의 운동이었기에 세계 많은 언론에 보도가 되었습니다. 미국 / 영국 / 프랑스 / 중국 등 많은 사람들이 주목했고 이 영향으로 아시아권 나라들의 독립운동을 촉발시키기도 했습니다.
After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wak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egitimacy of the Republic of korea begins with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이후 3.1 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이에 현재의 대한민국의 전통성은 삼일절로부터 시작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통사 블로그를 구독하시면
카카오톡에서 쉽게 면접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 클릭 ⏬⏬
중요한 키워드
-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Korea's independence
- Japanese occupation period / no guarantee of basic right / resources were looted
- 33 members of the national delegation / nationwide protest movement / march 1st movement
- citizens voluntarily rose up / even in foreign country
- reported in many media around the world / triggered independence movement in other countries
-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legitimacy of the republic of korea\
- 대한민국 독립선언 기념일
- 일제강점기 / 기본권이 보장 안됨 / 자원의 약탈
- 33인의 민족대표 / 전국적인 시위 운동 / 3.1 운동, 삼일운동
-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운동에 참여 / 외국에서도 활약
- 세계 많은 매체에 보도가 되었다 / 다른 나라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전통성
영어 단어
anniversary | 기념일 | declaration | 선언 |
independence | 독립 | undergo | 겪다 |
japanese occupation period |
일제강점기 | severely | 가혹하게 |
basic right | 기본권 | guarantee | 보장하다 |
loot | 약탈하다 | delegation | 대표 |
lead | 이끌다 | nationwide | 전국적인 |
voluntarily | 자발적으로 | trigger | 촉발하다 |
established | 설립하다 / 수립하다 | legitimacy | 전통성 |
the march 1st movement day |
삼일절 | the march 1st movement |
3.1운동 / 삼일운동 |
기타 정보
- 삼일절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됨.
- 삼일절은 독립운동가의 호국정신을 기리고 대한민국의 탄생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날.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성립된 후, 삼일절은 대한민국 건립의 첫걸음이 된 최대의 국경일로 인정되었다.
- 3.1 운동에 영향을 받은 운동은 중국 5.4 운동 / 대만 독립운동 등
- 북한은 3.1 운동을 3.1 인민봉기라고 부른다 -> 북한에서는 국경일이 아니다
'관광통역안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에서 수화물이 늦게 도착한다면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관광통역안내사] (0) | 2024.02.23 |
---|---|
하루에 관광지 3곳 중 2곳만 가야 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관광통역안내사] (0) | 2024.02.21 |
에코투어 중 벌이나 뱀에게 물렸을 때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관광통역안내사] (0) | 2024.02.19 |
호텔의 상태가 예약한 것보다 안 좋은 상태일 경우 어떻게 하겠는가? [관광통역안내사] (0) | 2024.02.16 |
관광통역안내사가 단체 관광객이 공항에 도착하기 전 준비할 사항은 무엇일까? (1) | 2024.02.14 |
손님이 호텔 체크인을 하고나서 가이드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 있는가? [관광통역안내사] (0) | 2024.02.12 |
투어 중 관광객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겠는가? [관광통역안내사] (1) | 2024.02.09 |